본 포스팅은
<ZeroCho님의 인프런 - 웹 게임 개발 자바스크립트 >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REPL"
: READ EVALUATE PRINT LOOP
연산자 우선순위
- 대입연산자인
=
이 제일 마지막에 실행된다.
- 소괄호
()
를 쓰면 연산자 우선순위를 바꿀 수 있다.(수학처럼)
함수
1 2 3
| function (x, z) { return x + z + 5; }
|
()
부분이 입력값,
return
부분이 출력값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1 2 3 4 5
| 4 + 7 + 3 + 5; 8 + 1 + 3 + 5; 10 + 3 + 3 + 5; 13 + 4 + 3 + 5; 12 + 4 + 3 + 5;
|
바뀌는 부분만 첫째, 둘째로 넣고,
나머지 공통되는 부분인 +3 + 5
를 써넣는다.
1 2 3
| function 더하기(첫째, 둘째) { return 첫째 + 둘째 + 3 + 5; }
|
1 2 3 4 5 6 7 8 9 10 11
| console.log("안녕하세요"); console.log("제로초님"); console.log("반가워요");
console.log("안녕하세요"); console.log("김성수님"); console.log("반가워요");
console.log("안녕하세요"); console.log("진호인님"); console.log("반가워요");
|
- 이름 부분만 바뀌고 있다.
- 불필요하게 코드를 반복하고 있다.
- 반복되는 부분을
함수
로 만들자.
1 2 3 4 5
| function 인사(이름) { console.log("안녕하세요"); console.log(이름 + "님"); console.log("반가워요"); }
|
이제 위 함수를 이용하여 처음에 총 9줄로 작성했던 코드를 3줄로 줄일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 인사("제로초");
인사("김성수");
인사("진호인");
|
1 2 3
| 함 수 야 놀 자 1 2 3 4 5 <-- 사람 0 1 2 3 4 <-- 컴퓨터(자바스크립트)
|
사람은 보통 1
부터 세고,
자바스크립트에서는 0
부터 센다.
cf) 파이썬같은 언어는 0
이 아닌 1
부터 센다.
1 2 3 4 5 6
| "함수야놀자"[2];
"함수야놀자"[0];
"함수야놀자"[3];
|
조건문
if else문
1 2 3 4 5 6 7
| if (true) { ("안녕"); } else { ("잘가"); }
|
1 2 3 4 5 6 7 8
| let 변수 = false;
if (변수) { ("안녕"); } else { ("잘가"); }
|
시한 폭탄을 if ~ else문
으로 짠다고 생각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let 변수 = "펑"; 변수 = "암호";
if (변수 === "펑") { ("펑펑"); } else { ("해제되었습니다."); }
|
else if문
을 이용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 let 변수 = "사과";
if (변수 === "사과") { ("사과 좋아"); } else if (변수 === "오렌지") { ("오렌지 좋아"); } else if (변수 === "딸기") { ("딸기 좋아"); } else { ("과일 싫어"); }
|
- 자바스크립트는 코드가 위에서부터 한 줄씩 읽어 내려간다.
- if를 보는 순간, 우리 앞에는 4가지의 갈림길이 생긴 것이다.
- 이 4가지 조건 중에 하나가 실행된다.
- 이 4가지 조건들은 첫 번째 조건부터 차례대로 검사한다.
if ~ else if ~ else문
은
코드에 갈림길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 조건문에서
else if(){}
와 else {}
는 써도 되고 안 써도 된다.
if
만 써도 된다.(조건문을 쓰고자 한다면 if는 필수로 써야 함)
cf) switch문
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