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 제어의 기본

본 포스팅은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자료를 인용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전송 제어의 기본

1. 전송 제어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입.출력 제어, 회선 제어, 동기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하는 것

  • OSI 7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이다.

2. 전송 제어 절차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접속 -> 데이터 링크 설정(확립)
-> 정보 메시지 전송 -> 데이터 링크 종결 ->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절단


다음은 전송 제어 절차를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1~2번)

1
2
3
4
5
a. 통신 회선 접속
b. 정보 전송
c. 데이터 링크 해제
d. 데이터 링크 확립
e. 통신 회선 절단
  1. 전송 제어 절차를 순서에 맞게 나열하시오.
    (a -> d -> b -> c -> e)

  2. 접속된 통신 회선 상에서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확실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논리적 경로를 구성하는 단계는 (d)이다.

  • 비트(Bit) 위주의 프로토콜로, 각 프레임에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오류를 검출할 수 잇는 비트 열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 포인트 투 포인트 및 멀티 포인트, 루프 방식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며,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 오류 제어를 위해 Go-Back-N과 선택적 재전송(Selective Repeat) ARQ를 사용한다.

  • 흐름 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사용한다.

  • 전송 제어상의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비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비트 투과성(투명성)이라고 한다.

  • 비트 투과성(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으로 비트 스터핑(Bit Stuffing)이 사용된다.

  • 전송 효율과 신뢰성이 높다.

  • HDLC 프레임 구조

HDLC 프레임 구조 - 이미지 출처


  1. HDLC의 프레임 구조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주소부) -> (제어부) -> (정보부) -> FCS -> 플래그 순이 된다.

  2.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인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에서
    프레임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항상 ‘01111110’의 형태를 보이는 구성 요소는 (플래그(Flag))이다.

  3.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중 전송 효율과 신뢰성이 높고
    정보 전송 단위가 프레임인 전송 제어 방식은 (HDLC)이다.

  4. 다음 중 HDLC 프로토콜의 특징이 아닌 것을 모두 고르시오.
    (c, e, f, g)

1
2
3
4
5
6
7
a. 점대점 링크 및 멀티포인트 링크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b. 반이중 통신과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한다.
c. 비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d.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에 의해 흐름 제어를 제공한다.
e. 에러 제어를 위해 Stop-and-Wait 방식을 사용한다.
f. 문자 지향형 전송 프로토콜이다.
g. FCS 영역의 길이는 64비트이다.
1
2
3
4
5
6
[해설]
c. HDLC 프로토콜은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합니다.
e. HDLC 프로토콜은 에러 제어를 위해 Go-Back-N ARQ와
선택적 재전송 ARQ를 사용합니다.
f. HDLC는 비트 지향형 전송 프로토콜 입니다.
g. FCS 영역의 길이는 16 비트 또는 32비트 입니다.
  1. HDLC에서 비트 스터핑(Bit Stuffing)을 수행하는 목적은
    데이터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O)

  2. HDLC 프레임의 시작과 긑을 정의하는 것은 (플래그)이다.

  3. HDLC 프레임 형식 중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제어부)이다.

  4. HDLC 프레임 구성에서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 영역의 기능은
    (전송 오류 검출)이다.